우리나라 최초의 미술평론서인 『근역서화징』는 겸재가 진경산수화에 뛰어났다고 평한다. 진경(眞景)이란 무엇일까. 겸재 이전 조선의 화가들은 중국의 화풍을 따라 산수화를 그리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다. 이는 조선 전기에 그려진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나 겸재 정선은 달랐다.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이뤄져있는 서울의 인왕산은 산세가 아름답고 기상이 넘쳐 오랫동안 산수화의 단골 소재였다. 전통적 화법에서 산의 흰 바위는 가는 윤곽선에 갇힌 여백으로 표현돼왔다. 그러나 겸재는 검게 칠하는 화법을 선보였다. 바위의 중량감과 위압감을 살려 산세가 가진 기상을 표현하기 위한 독창적인 선택이었다. 이처럼 눈에 보이는 형태나 색을 초월해 대상의 본질을 추구하는 것이 진경이다. 산수나 자연물도 다 생명이 있기 때문에 외형의 단순한 재현을 넘어서 자연물의 속성이나 경관에서 작가가 받은 감흥과 정취 등 내적 정신을 표현해야하는 것이다. 겸재는 이런 우리 회화 미학의 핵심을 가장 잘 구현한 화가였다. #최초의 #미술평론서 #근역서화징#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안견의 #몽유도원도

최초의 미술평론서 근역서화징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안견의 몽유도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