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오신날 #석가모니 #불교 절에 건물이 많은 이유는? 절 곳곳에 담긴 불교 철학의 의미 팔상도, 석가모니의 일생이 담긴 여덟 폭의 그림 죄와 벌, 구원이 공존하는 공간, 절 붓다의 가르침을 통해 우리의 삶을 돌아본다 수천 년 동안 한국인의 정신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 불교 그리고 부처. 부처는 산스크리트어로 붓다, ‘깨달은 자’라는 뜻을 가진다. ‘깨달은 자’, 붓다의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다큐 인사이트 [절, 붓다의 세상]은 우리 사찰을 돌아본다. 부처의 세계로 들어서는 순간 부처가 사는 집, 그리고 불교 철학을 재현한 공간, 절. 절은 친근한 장소이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알기 어려운 미지의 공간이다. 우리는 사찰에 가면 법당 안에 들어가야 부처님을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절에 들어서는 입구부터 부처님의 세상은 이미 펼쳐져 있다. 절 입구의 무지개다리. 번뇌로 가득한 차안(此岸)과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을 연결하는 이 다리를 건너면, 우리는 이미 부처님의 세상으로 들어서게 된다. 절의 현판이 걸린 일주문과 악하고 부정한 마음을 물리치는 금강문, 천왕문을 지나고 나면 더 넓은 부처님의 세계가 사뭇 경건해진 우리를 맞이한다.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대표 절들을 돌아본다. 그곳의 건축물과 불상, 탑, 불화와 같은 불교 문화재에는 어떤 부처님의 뜻과 가르침이 담겨있을까? 팔상도에 담긴 석가모니의 일생 절은 우리 전통 미술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박물관이다. 그중에서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린 그림, 불화를 감상할 수 있는 좋은 장소다. 팔상도는 석가모니(부처)의 일생을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팔상도에는 고타마 싯다르타(석가모니의 이름)가 도솔천에서 세상으로 내려와 인생의 괴로움을 알고 출가를 결심한 후, 수행을 거쳐 악을 굴복시키고 깨달음을 얻고 부처가 되어 그 가르침을 전하다가 열반에 이르는 과정이 여덟 장면으로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팔상도를 보고 있으면, 부처 역시 인간으로 태어나(生) 나이가 들고(老) 병이 들어(病) 죽음(死)에 이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동시에 부처가 말한 ‘천상천하 유아독존’의 의미가 비단 부처 홀로 존귀하다고 말한 것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존재는 귀하다는 뜻이었음을 이해하게 된다. 절에 있는 수많은 전각은 불교의 세계를 구성하고 있다. 절의 중심을 이루며 석가모니불과 다양한 불상을 모시는 대웅전을 비롯해 지옥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시왕과 죄지은 중생을 구원하는 지장보살을 함께 모시면서 유명계를 상징하는 명부전, 그 밖에도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해 주는 관세음보살을 모시는 관음전까지. 절에는 죄와 벌, 그리고 구원이 모두 공존하고 있다. 다큐 인사이트 [절, 붓다의 세상]에서 절 곳곳에 숨어있는 궁금증을 풀고, 붓다의 가르침을 통해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사색의 시간을 가져본다. ✔KBS 다큐멘터리 | KBS 공식 유튜브 채널 [KBS 다큐] 🔔구독 👍좋아요 ➡️ https://www.youtube.com/@KBSDocumentary 📝문의: kbsdoculife@gmail.com ©️ KBS ALL RIGHTS RESERVED ∙방송 시점에 따라 현 상황과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비방, 악성 댓글은 출연자 보호를 위해 운영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KBS다큐멘터리docudocumentary다큐다큐인사이트인사이트kbs스페셜일요스페셜방송강연특강시사정치경제다큐3일한국사회한국방송tvfactualnon-fiction다큐 3일다큐멘터리3일다큐멘터리 3일다큐 인사이트다큐온다큐 온시사교양방송국교양문화kbs명강연명강레전드강의국제외교환경기후위기휴먼다큐한국인의밥상한국인의 밥상대한민국역사근대사건강교양뉴스사건사고koreakorean교육과거과거사근현대현대현재르포르포르타주reportage부처님오신날초파일석가모니한국절붓다템플스테이kbs다큐kbs 다큐멘터리kbs 다큐다큐 인사이드다큐인사이드kbs다큐인사이트kbs 아카이브kbs 다큐 스페셜kbs 실시간kbs다큐멘터리 다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