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삼성과의 빅딜에 이어 이번에는 유통업에 승부수를 던졌습니다. 첫 신호탄은 바로 시내 면세점 사업인데요, 한화그룹의 유통계열사인 한화갤러리아는 63빌딩을 서울 시내 면세점 입지로 최종 낙점하고 새로운 랜드마크로 키우겠다는 전략입니다. 한지이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유통 등 서비스 사업 분야에서 어려운 시장환경을 딛고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도전해야 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올해 재계의 핫이슈로 떠오른 면세점 사업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시내 면세점 후보지로는 국내 간판급 랜드마크인 63빌딩을 앞세웠습니다. 현재 여의도 지역에서 운영 중인 시내 면세점이 없는 데다 주변 관광 인프라와 연계했을 때 효과가 크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인터뷰] 신태림 / 한화갤러리아 저희는 입지 선정 단계부터 외국인 관광객 편의와 관광 인프라 등 인접 지역의 환경과 지역 발전 측면을 고려하였음은 물론이고요. 현재 중구 등 일부 지역에만 집중되어 있는 관광객을 분산시켜 관광객 편중 현상을 완화시키고, 서울 서남권 지역의 관광 진흥 효과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63빌딩 안에는 각종 복합쇼핑시설들이 갖춰져 있습니다. 아쿠아리움, 아트홀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시설뿐만 아니라 한강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와 고급 레스토랑 등도 있습니다. 또 한강과 맞닿아 있어 유람선같은 한강을 기반으로 한 관광상품과도 연결지을 수 있고, 인근에 특급 호텔과 병원이 여러 군데 있어 의료관광과도 연계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접근성 측면에서는 경쟁사들의 후보지와 비교했을 때 공항과 가장 가깝습니다. 서울 명동과 종로, 강남 지역과 대비해 혼잡하지 않아 교통 체증 부담감도 적습니다. 또 총 1,100여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 역시 큰 장점입니다. 한화갤러리아는 지난해 시작한 제주공항 면세점 사업으로 국내 면세사업자 중 최단 기간에 흑자 달성에 성공했습니다. 작년 6월 영업을 시작한 제주 면세점 매출은 3분기 누적 기준으로 213억3,900만원, 영업이익 7억6,500만원을 기록했습니다. 업계에서는 경쟁사들에 비해 움직임이 늦었지만 명품관·면세점 운영 능력과 63빌딩의 인프라가 결합하면 시너지 효과는 엄청날 것이라는 평가입니다. “경영 복귀 후 선택과 집중을 강조해온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63 빌딩’ 카드를 공개하고 시내면세점 사업에 팔을 걷어부쳤습니다. 금융, 태양광, 석유화학에 이어 한화가 유통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것입니다.” 서울경제TV 한지이입니다.